[스크랩] 일본근세근현대사 인터넷보충학습자료 1부 1장 - 9장 [정답-일부 수정 보완]
교재를 중심으로 정답을 작성하고 있으나, 문제에 따라 애매한 것도 있는 것 같습니다.
혹시 틀렸거나 의문나는 것은 지적해주시기 바랍니다. - 不備 -
제1장
1. 다음 내용과 관련이 깊은 사람은? [7쪽]
“그는 1575년에 장애물을 설치하고 약 3천여 명의 밀집 대형을 이룬 뎃포 부대를 배치하 여 적의 기마대를 조준 사격하는 전술로, 승리를 거두었다. 뎃포 부대의 대 승리는 다이 묘의 병제와 전술을 획기적으로 전환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① 도요토미 히데요시 ② 오다 노부나가 ③ 도쿠가와 이에야스 ④ 도쿠가와 이에미쓰
2. 다음 내용과 관련이 깊은 사람은? [11쪽, 가타나가리(刀狩り) 정책]
“농민이 도검을 비롯한 무기를 소지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그는 농민이 무기를 소 지하고 있으면 무장 봉기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고 생각하여, 1588년 이 정책을 실시 해 농민들의 무기 소지를 금지하였다.”
① 오다 노부나가 ② 우에스기 겐신 ③ 도쿠가와 이에야스 ④ 도요토미 히데요시
3. 다음 내용과 관련이 깊은 것은? [14쪽]
“불교의 영향력이 감소하고 현실 생활을 긍정하는 풍조가 확산되었다. 웅장하고 화려함이 이 문화의 특징이다. 이 시대의 문화적인 산물은 천수각으로 대표되는 성곽 건축이다. 또한 다도의 센노 리큐는 와비차의 형식을 완성했다.”
① 겐로쿠 문화 ② 모모야마 문화 ③ 히가시야마 문화 ④ 기타야마 문화
4. 다음중 관련있는 것끼리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8쪽]
① 아케치 미쓰히데 - 오사카 성의 건설
② 토요토미 히데요시 - 에도 막부의 3대 쇼오군
③ 오다 노부나가 - 라쿠이치 라쿠자
④ 도쿠가와 이에야스 - 혼노오지노헨
5. 다음은 모모야마 문화 중 회화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부분을 고르시오. [15쪽]
① 다이묘의 거성 내부는 호사스러운 조각과 그림으로 장식되었다.
② 모모야마 시대의 대표적인 회화로 우키요에를 들 수 있다.
③ 모모야마 시대의 회화로 금벽장병화를 들 수 있다.
④ 가노파는 다이묘들에게 인기가 좋았으나 권력에 안주하면서 차차 보수화되었으므로 뛰어 난 작가를 배출하지 못했다.
6. 다음 중 병농분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11쪽]
① 무사는 직접 생산과 분리되어 조카마치(城下町)라는 도시에서 생활하면서 상업에도 종사하였다.
② 농민은 무기를 소지하면서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지켜나갔다.
③ 병농분리 정책은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가 시작한 정책이다.
④ 가타나가리(刀狩り) 정책에 의해 병농분리는 한층 더 강화되었다.
7. 다음은 누구에 대한 설명인가? [20쪽]
“사카이의 호상 출신으로, 다도를 집대성하고 소안 다실과 와비차를 완성시켰다. 오다 노 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겼지만, 다이토쿠지 산문에 자신의 목각상을 두게 하여 도 요토미 히데요시의 노여움을 사서 자결을 명받았다.”
① 후루타 오리베 ② 가노 에이토쿠 ③ 센노 리큐 ④ 도요토미 히데쓰구
8. 다음 사항 중 모모야마 문화와 관련이 없는 것은? [14쪽]
① 불교의 영향력이 감소되었다.
② 현실 생활을 긍정하는 풍조가 확산되었다.
③ 이 시대의 문화를 대표하는 것은 다이묘의 거성, 그 중에서도 천수각을 들 수 있다.
④ 이 시대 문화의 주역은 교토와 오오사카의 부유한 상공인들이었다.
9. 다음 사항 중 모모야마 문화와 관련이 없는 것은? [16쪽]
① 와비차의 대성 ② 꽃꽂이, 향도, 바둑, 장기 등이 서민층에 보급됨.
③ 우키요에의 출현 ④ 가부키 오도리의 출현
10. 다음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관련된 내용이다. 틀린 것은? [10쪽]
①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실시한 검지를 특히 다이코 검지라고 한다.
②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고요제이 천황을 자신의 성곽인 주라쿠다이에 유폐하였다.
③ 가타나가리 결과, 무기는 결국 무사 신분에 의하여 독점되었다.
④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실권을 장악한 후, 오사카성을 건설하고 통일의 거점으로 삼았다.
11.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행한 다음 정책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0, 11쪽]
“논밭의 면적이나 토지의 등급을 조사하여 수확고를 고쿠다카로 표시, 연공과 경작자를 정 하였다. 농민들로부터 무기를 몰수 하였다.”
① 다이코검지, 주인장 ② 다이코검지, 오도리
③ 다이코검지, 가타나가리 ④ 가타나가리, 주인장
12. 오다 노부나가를 혼노지에서 살해한 사람은? [8쪽]
① 도요토미 히데요시 ② 도쿠가와 이에야스
③ 아케치 미쓰히데 ④ 다케다 신겐
13. 모모야마 문화를 대표하는 성이 아닌 것은? [14쪽] - 정답 없음
① 히메지성 ② 아즈치성
③ 후시미성 ④ 오사카성
제2장
1. 다음 중 도쿠가와 이에야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7쪽]
① 그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싸워 멸망당하고 만다.
②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한 후 도요토미 정권의 집정으로서 실권을 장악하였다.
③ 호코지 종명사건을 빌미로 도요토미 히데요리를 공격하였다.
④ 1603년 쇼군에 취임하여 에도에 막부를 열었다.
2. 다음 중 막부의 행정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9쪽]
① 메쓰케는 하타모토 고케닌을 감시, 감찰하는 기관이었다.
② 다이로는 수상 격으로 상설직이었다.
③ 지샤부교는 전국의 사원과 신사를 관리하였다.
④ 오메쓰케는 다이묘의 동태를 감시하는 감찰기관이었다.
3. 다음 중 다이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 31쪽]
① 막부의 법령을 위반하지 않는 한 다이묘가 지배하는 번은 독자적으로 운영되었다.
② 무가제법도에 의하면 다이묘는 규모가 큰 선박을 건조할 수 없다.
③ 도자마 다이묘는 세키가하라 전투 이전부터 도쿠가와 집안에 충성을 맹세한 가신 그룹이 었다.
④ 참근교대 제도는 다이묘에게 재정적인 부담을 안겼다.
4. 다음 중 에도시대의 대외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3-36쪽]
① 동남아시아에 정착한 일본인들은 쇄국 정책의 실시 이후 일본으로 돌아오지 못하였다.
② 에도 시대 일본과 교역한 나라는 오직 네덜란드 밖에 없었다.
③ 네덜란드는 나가사키의 데지마에 상관을 두고 일본과 교역하였다.
④ 네덜란드는 기독교의 포교를 하지 않을 것을 맹세하였다.
5. 다음 중 에도 시대 무사의 특권이 아닌 것은? [37쪽]
① 모든 무사는 에도 막부로부터 봉급을 받을 수 있었다.
② 무사는 무례를 범한 평민을 즉석에서 살해하더라도 명백한 증거만 있으면 면책 받을 수 있다.
③ 무사는 성(姓)을 사용할 수 있다.
④ 무사는 두 개의 도검을 패용할 수 있다.
6. 다음 중 에도막부의 직제가 아닌 것은? [29쪽]
① 로쥬(老中) ② 메쓰케(目付) ③ 오메쓰케(大目付) ④ 간파쿠(關伯)
7. 다음은 에도 시대의 다이묘를 쇼군과의 친소관계에 따라 분류한 것이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30쪽]
① 후다이 다이묘 ② 도자마 다이묘 ③ 신판 다이묘 ④ 센코쿠 다이묘
8.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31쪽]
“이 제도의 정착으로 다이묘는 격년제로 에도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다이묘의 처자는 인질 로 에도에 계속 거주해야만 하였다. 다이묘들은 가신들도 에도에 상주시켜야 했고, 규정 된 규모의 군단을 편성하여 에도와 영지 사이를 정기적으로 왕복해야 하였기 때문에 재정 적으로 큰 부담이 되었다.”
① 오오메쓰케 ② 참근교대 ③ 다이코 제도 ④ 금중병공가제법도
9. 에도 막부의 쇄국정책이 강화된 결과, 일본에 남게 된 유일한 유럽인들은? [36쪽]
① 영국 ② 스페인 ③ 포르투갈 ④ 네덜란드
10. 막부는 크리스트교를 탄압하기 위해 예수나 마리아의 초상을 새긴 동판을 밟게 하여 크 리스천을 색출하였는데, 이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35쪽]
① 로쿠바라탄타이 ② 부교 ③ 후미에 ④ 정면법
11. 농민에게 연공 납입이나 범죄의 공동책임을 지우게 한 제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39쪽]
① 참근교대 ② 고닌구미
③ 조카마치 ④ 금중병공가제법도
12. 농민은 수확의 몇 %를 연공으로 바쳤는가? [40쪽]
① 30% ② 50%
③ 25% ④ 40%
13. 막부가 농민의 의식주에 이르기까지 제한을 가하기 위해 발포한 명령은? [45쪽]
① 고닌구미 ② 게이안노오후레가키
③ 시마바라 ④ 덴료
제3장
1. 다음 중 에도시대의 호상(부유한 상인)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5쪽]
① 이 시기에 출현한 대표적인 신흥 상인 가문으로 미쓰이, 고노이케, 미쓰보시 등을 들 수 있다.
② 상업과 금융업이 발달하면서 많은 신흥 상인들이 출현하였다.
③ 미쓰이 다카토시가 에치고야라고 하는 포목상을 내면서 미쓰이 집안은 발전의 기틀을 마 련하였다.
④ 스미토모 집안은 에도 시대 초기부터 교토와 오오사카를 중심으로 발전하여 17세기 말 에는 이요이 벳시 동광산을 경영하면서 막대한 부를 축적하였다.
2. 다음 중 조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0쪽]
① 일반적으로 에도 시대의 도시에 거주하는 상인과 수공업자를 일컫는다.
② 조닌 계급의 형성은 도시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③ 조닌은 영주 권력에 봉사하는 대가로 권력의 비호를 받았다.
④ 학식이 뛰어난 조닌은 일정한 시험을 거쳐 무사 계급으로 승격되었다.
3. 에도 막부가 쇄국정책을 견지하는 가운데에도 유일하게 네덜란드의 무역상관을 두고 대외창구로 개방하였던 데지마(出島)는 다음 중 어디입니까? [쪽]
① 요코하마 ② 코베
③ 나가사키 ④ 홋카이도
3장 3번 쪽 기입: 2장 p. 36
4. 에도시대 당시, 전국 다이묘들의 잉여생산물이 집중되어져 상업의 중심이 되었던 도시로 오늘날 ‘천하의 부엌’으로 일컬어지는 곳은 다음 중 어디인가? [53쪽]
① 에도 ② 나라
③ 교토 ④ 오사카
5. 다음 중 에도시대에 나타난 호상(豪商)이 아닌 것은? [55쪽]
① 미쓰이 ② 미쓰보시
③ 고노이케 ④ 스미토모
6. 다음은 17세기 일본 사회의 농업 기술의 발달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49, 59쪽]
① 빗추구와라고 하는 쇠스랑이 사용되었다.
② 17세기 말부터 깻묵 ․ 생선 찌꺼기 등이 비료로 다량 생산 되었다.
③ 센바코키라고 하는 탈곡기가 발명되었다.
④ 후미구루라고 하는 양수기가 널리 사용되었다.
②번 지문에서 다량 생산된 것은 다량 소비와 일맥상통하는 것이 아닐까요?
그리고, '후미구루마'에서 '마'자가 빠졌다고 보아야 할까요???
7. 다음은 누구에 대한 설명인가?
“히로시마번의 무사의 아들로 태어나 후쿠오카번에서 일하다가 귀농하였다. 중국 농서를 배우고 산요도 ․ 기나이 지방을 돌아다니며 그 견문과 체험에 의한 <농업전서>를 저작하 였다.” [50쪽]
① 스미노쿠라 료이 ② 후다사시
③ 미야자키 야스사다 ④ 가부나카마
8. 다음은 에도 시대의 상업과 화폐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 연결된 것은? [54, 55, 57쪽]
① 구라야시키 - 도매 시장
② 가부나카마 - 상인들의 동업조합
③ 료가에쇼 - 화폐의 환전을 전문으로 하는 상인
④ 한사쓰 - 각 번(藩)이 발행한 지폐
9. 다음 ( )안에 들어갈 말은?
“에도 시대에는 다이묘의 참근교대에 의해 교통량이 증가하여 각지에 ( )로 설비가 갖추 어졌다.” [57쪽?]
① 슈쿠바 ② 가도
③ 삼도 ④ 해운
10.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유력한 상인이나 직인을 중심으로 하는 동업조합으로, 동업자의 숫자나 판매가격, 양을 제한하였다. 그리고 막부와 번에 세금을 바치고 보호를 받았다. 그 결과, 영업을 독점하고 큰 이익을 올렸다.” [55쪽]
① 돈야 ② 고우리닌
③ 가부나카마 ④ 료가에쇼
11. 가도를 편지나 소포를 전달하기 위하여 왕래하던 사람들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58쪽]
① 히캬쿠 ② 슈쿠바
③ 행상인 ④ 나카가이닌
12. 큰 상인들 중에 “현금 거래와 일체의에누리가 없는” 상법으로 큰 성공을 본 사람은 누 구인가? [54쪽]
① 미츠이 다카토시 ② 사쿠마 쇼잔
③ 고노이케젠에몬 ④ 기노쿠니야분자에몬
13.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57쪽]
“에도 시대의 금융기관으로 현재의 은행에 해당한다. 에도 시대의 화폐는 단위가 복잡하고 무게를 달아서 그 가치를 정하는 경우도 있었기 때문에 금액이 큰 화폐와 작은 화폐를 교 환하는 작업을 하였다.”
① 구라야시키 ② 료가에쇼
③ 히캬쿠 ④ 슈쿠바
제4장
1. 다음 내용은 어느 쇼군 때에 일어난 일인가? [68쪽]
“개의 호적을 작성하고 개가 죽었을 경우에는 사망 신고를 하였다. 개를 죽였을 경우에는 엄벌에 처해졌다. 에도에 개가 늘어나게 되자 에도의 여러 곳에 40여만 평의 개 수용소 를 건설하고 5만 마리에 가까운 개를 수용했다.”
① 도쿠가와 이에야스 ② 도쿠가와 이에미스 ③ 도쿠가와 쓰나요시 ④ 도쿠가와 요시무네
2. 다음 중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정책 일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7, 68쪽]
① 무가사회의 무사안일주의를 척결하기 위하여 신상필벌주의를 견지하였다.
② 문벌중심주의를 타파하고 인재를 등용하여 측근을 구성하였다.
③ 유시마에 그리스도교 성당을 세우고 하야시 호코로 하여금 예수를 제사지내게 하였다.
④ 유학을 장려하여 문치주의의 기반을 닦았다.
3. 다음은 도쿠가와 쓰나요시 정권의 경제정책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67쪽]
① 조선 인삼의 전매 제도를 시행하였다.
② 수차례에 걸쳐서 화폐를 개주하였다.
③ 양조업자를 비롯한 상인으로부터 헌납금을 징수하였다.
④ 신흥 상인들을 억압하였다.
4. 로닌들을 결집시켜 막부를 전복하려고 의도하여 1651년에 난을 일으킨 인물은 누구인 가? [65쪽]
① 쇼루이아 ② 하야시 라잔
③ 유이 쇼세쓰 ④ 아라이 하쿠세키
5. 다음은 어떤 사건을 설명한 것인가? [66, 76쪽]
“일명 후리소데카지 라고도 한다. 에도성을 포함해 전 도시의 55%가 불탔고, 사망자도 10 만을 넘는 대화재였다.”
① 에도 대화재 ② 덴메이 대화재 ③ 나가사키 대화재 ④ 메이레키의 대화재
6. 도쿠가와 쓰나요시가 1658년에 발포했던 극단적인 동물애호령으로 이것은 1687년 이후 더욱 극단화되었고, 1695년 요쓰야 ․ 오쿠보 ․ 나카노에 개 보호소를 만들어 야생견을 사 육하여, 도쿠가와 쓰나요시를 이누쿠보라고 부르게까지 한 정책을 무엇이라 하는가? [68, 77쪽]
① 소바요닌령 ② 쇼루이아아레미령
③ 다이코검지령 ④ 하이카이령
7. 다음은 누구에 대한 설명인가? [66, 75쪽]
“로닌 단속의 완화, 인질 제도의 폐지, 순사 금지 등의 정책을 추하였다. 말년에는 다이로 인 사카이 다다키요가 전권을 휘둘렀다.”
① 도쿠가와 쓰나요시 ② 도쿠가와 이에미쓰
③ 도쿠가와 이에쓰나 ④ 도쿠가와 히데타다
8. 다음은 아라이 하쿠세기의 정치에 관해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70쪽]
① 금과 은이 해외로 유출되는 것을 걱정하여 해외 무역을 통제하였다.
② 아코번의 영주인 아사노 나가노리를 처벌하였다.
③ 조선 통신사의 대우와 예의 절차를 대폭 간소화하였다.
④ 화폐를 개주하여 금의 함유량을 높였다.
9. 다음 중 도쿠가와 쓰나요시와 관련이 없는 것은? [67쪽]
① 쇼루이아와레미령 ② 유시마 성당의 건축
③ 겐로쿠 시대 ④ 화폐의 질을 개량
4장 9번 정답: 4번이 아닐까요?
(화폐를 여러 차례 개주했지만 금의 함유량을 낮추었으므로 가치하락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부작용을 가져왔습니다.
말하자면 개량이 아닌 개악이라고 할까요?
그렇지만 쓰나요시의 의도와는 달리 당시는 상품경제가 발달한 시기였으므로 통화량을 늘릴 필요가 있어서 개주는 경제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데는 기여한 것으로.....)
그리고. 3번의 겐로쿠시대는 1687-1703년이며, 쓰나요시가 쇼군으로 활동한 시기는 1680-1708년이므로 관련이 있다고 봅니다.
10. 다음 중 아라이 하쿠세키와 관련이 깊은 것은? [70쪽]
① 유시마 성당의 건축 ② 나가사키 무역의 제한
③ 홋카이도 개발 ④ 겐로쿠 시대
제5장
1. 다음 중 겐로쿠 시대의 시대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1쪽]
① 대부분의 중하급 무사들은 자기 영지를 소유하고 있었다.
② 아직까지 1일 3식의 식생활이 일반화되지는 못 하였다.
③ 신분적으로는 무사가 조닌 보다 위였지만 경제적으로는 그렇지 않았다.
④ 상품경제가 발전하고 물가가 상승하면서 무사의 봉록도 함께 상승하였다.
2. 겐로쿠 시대의 문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8, 89, 93, 95쪽]
① 지카마쓰 몬자에몬의 작품은 당대의 봉건 도덕과 인간 본래의 애정이 대립하는 상황을 조닌의 입장에서 절묘하게 묘사하였다.
② 이하라 사이카쿠가 출현하여 조닌의 희로애락을 실감나게 표현함으로써 대중적인 인기를 끌었다.
③ 마쓰오 바쇼가 출현하여 심오하고 한적함을 본지로 하는 하이카이를 확립시켰다.
④ 지카마쓰 몬자에몬은 <고쇼쿠고닌온나(好色五人女)>를 발표해, 이하라 사이카쿠와 함께 가나조시의 대표적인 작가로 부각되었다.
3. 에도시대에 하이카이를 높은 경지로 끌어올려 대성시킨 사람으로 「오쿠노호소미치」라는 기 행문을 남긴 사람은 누구입니까? [89쪽]
① 도쿠가와 요시무네 ② 치카마쓰 몬자에몬
③ 이하라 사이가쿠 ④ 마쓰오 바쇼
4. 에도시대, 서민들의 사랑을 받았던 판화로 유럽으로 전파되어져 인상파 화가들에게 큰 영 향을 미쳤던 그림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93쪽]
① 금벽장병화 ② 에마키모노
③ 문인화 ④ 우키요에
5. 다음은 겐로쿠 시대의 사회상이다. 틀린 것은? [81쪽]
① 조닌에 대한 풍속 규제가 강화되었다.
② 시간이 지날수록 무사를 정점으로 하는 신분제는 안정되어 갔다.
③ 상품경제가 발전하고 물가가 상승하면서 무사는 점점 궁핍해졌다.
④ 상급 무사는 영지에서 수취한 미곡을 화폐로 교환해 그 돈으로 생활용품을 구입해 생활 했다.
6. 다음은 누구에 관한 설명인가? [89쪽]
“그는 인간의 물욕과 애욕 본능을 솔직하게 그려냈다. 그의 작품은 대체적으로 호색물, 조닌을 대상으로 한 것, 무가의 생활을 대상으로 한 것들이었다. 대표작으로 일생 동안 여색을 탐닉한 한 남자의 일대기를 그린 <호색일대남>,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고 사랑을 이루는 여인들을 묘사한 <호색오인녀>와 같은 호색물이 있다.”
① 지카마츠 몬자에몬 ② 이하라 사이가쿠
③ 마쓰오 바쇼 ④ 가쓰시카 호쿠사이
7.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84쪽]
“나카에 도주와 그의 제자인 구마자와 반잔이 이룬 학파이다. 이것은 현실 사회를 비판하 고 그 모순점을 개혁하려고 하는 혁신 사상을 내포하고 있었기 때문에 막부는 이 학파를 경계하였다.”
① 국학 ② 양명학
③ 고학 ④ 난학
8. 다음은 겐로쿠 시대의 작가와 그 작품을 연결한 것이다. 틀린 것은? [84, 85, 89, 90쪽]
① 마쓰오 바쇼 - <오쿠노 호소미치>
② 구마자와 반잔 - <다이가쿠와쿠몬>
③ 야마가 소코 - <세이쿄요로쿠>
④ 지카마쓰 몬자에몬 - <니혼에이타이구라>
9. 미야자키 야스사다의 저술로, 각종 작물의 재배법을 상세히 소개한 책은? [87쪽]
① 농업백과 ② 니혼에이타이구라
③ 농상집요 ④ 농업전서
10. 다음은 누구에 관한 설명인가? [86, 97쪽]
“고분지가쿠를 시작으로 에도 가야바초에 겐엔주쿠를 세워 후학들을 양성하였다. 그의 학 설의 요점은 주관적인 논의보다는 객관적인 사실을 존중하는 것이었다. 이런 관점에서 보 았을 때 도(道)라는 것은 주자학에서 말하는 개인의 도덕 규범이 아니고, 나라를 다스리 고 민중을 편안하게 하기 위한 정치 기술이며 실정법이었던 것이다.”
① 세키 다카카즈 ② 게이추
③ 오규 소라이 ④ 나카에 도주
11.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87쪽]
“미토번의 번주인 도쿠가와 미쓰구니가 편집을 시작한 일본 역사서. 주자학에 입각하여 군 신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 것으로, 1657년에 편집 사업에 착수하여 대대로 계승하여 약 250년 후인 1906년에 완성되었다.”
① 소네자키신주 ② 호색오인녀
③ 다이니혼시 ④ 오쿠노호소미치
12. 겐로쿠 문화 중 우키요조시, 하이카이, 조루리의 각본을 완성시킨 사람의 연결이 바르 지 못한 것은? [97쪽]
① 우키요조시-이하라 사이가쿠 ② 하이카이-마쓰오 바쇼
③ 조루리- 지카마쓰 몬자에몬 ④ 하이카이-나카에 도주
제6장 교호 개혁과 다누마 시대의 정치
1. 다음은 누구에 관한 설명인가? [102, 112쪽]
“그는 원대한 이상은 없었지만 매우 현실적인 정치가였다. 그는 막부의 재정을 충실히 하 기 위한 방법을 상품경제의 유통 과정에서 찾으려고 했다. 그러나 그 시대에는 공공연하 게 뇌물이 오가는 등 정치가 문란했다. 그리고 천재지변이 많이 발생했다. 그러자 전국 각지에서 농민 봉기가 일어났으며 도시에서도 폭동이 일어났다. 반란과 폭동의 소용돌이 속에서 그는 실각했다.”
① 도쿠가와 쓰나요시 ② 도쿠가와 요시무네
③ 다누마 오키쓰구 ④ 아라이 하쿠세키
2. 다음 내용과 관계가 깊은 사람은? [105 -106쪽]
“막부는 고구마, 사탕수수, 조선 인삼 등의 상품 작물의 재배를 장려했다. 이것은 농민들에 게 부수입을 늘려주어 미곡을 과다하게 수취하더라도 농민 경제가 몰락하지 않게 하려고 했던 것이다. 또 산업 개발에 도움이 되는 실학을 장려하기 위해 한문으로 번역된 서양 서적의 수입을 허용했다. 그리고 서양의 학문인 난학을 배우게 했다.”
① 도쿠가와 쓰나요시 ② 도쿠가와 요시무네
③ 다누마 오키쓰구 ④ 아라이 하쿠세키
3. 다음은 교호 개혁의 내용을 설명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 [106, 108쪽]
① 막부는 연공 징수 방법을 정면법으로 바꾸어 막부 수입의 안정을 꾀하였다.
② 막부는 대규모 경작지 개발 사업을 추진하였다.
③ 산업 개발에 도움이 되는 실학을 장려하였다.
④ 소송 사무를 처리하기 위해 금전 대차에 관한 소송은 대부분 접수하였다.
4.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19쪽]
“에도 시대의 농민의 반항 운동. 과중한 연공 과세 ․ 고리대 자본의 압박등에 대한 집단적 반항이었다. 이것은 에도 시대동안 3000건 정도가 일어났다.”
① 잇코 잇키 ② 에도 잇키
③ 하쿠쇼 잇키 ④ 조닌의 잇키
5. 1783에 아사마야마가 대폭발을 일으켜 그 영향으로 수년간에 걸쳐 극심한 기근이 계속 되었다. 에도 시대 3대 기근의 하나인 이 기근은 무엇인가? [113, 116, 119쪽]
① 헤이세이 대기근 ② 덴메이 대기근
③ 겐로쿠 대기근 ④ 교호 대기근
6. 다음은 18세기 전기의 일본 사회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103, 104쪽]
① 막부는 물론 무가 사회 전체가 재정난에 시달리고 있었다.
② 토지를 사들려 소작을 주는 현상이 생겨나 농촌사회는 점점 붕괴되어갔다.
③ 상업의 활성화를 위해 막부는 사무라이들이 더욱 많은 소비를 해줄 것을 기대하였다.
④ 화폐경제가 농촌에 침투하게 되었다.
7. 다누마 오키쓰구의 정치에 관해 잘못 설명한 것은? [109, 110쪽]
① 막부의 재정을 충실히 하기 위해서 상업자본을 적극적으로 이용하려고 하였다.
② 관리를 홋카이도로 파견하여 탐험하게 하였다.
③ 그는 대상인들을 적극적인 규제하고 감독하였다.
④ 동업 조합을 적극적으로 공인하여 각종 명목으로 헌납금을 징수하였다.
8. 센다이번의 무사로서 유학과 난학을 배우려고 나가사키에 유학하였고, 쇄국은 국익에 별 로 도움이 안된다고 하면서 개항을 주장하면서 <아카에조후세쓰코>를 저술한 사람은? [110, 118쪽]
① 구도 헤이스케 ② 오오카 다다스케
③ 다시다카 ④ 사쿠마 쇼잔
9. 1721년 효조쇼 문앞에 설치되었던 투서함으로서 시세이 ․ 야쿠닌의 부정 등에 대한 일반 서민들의 직소를 받아들였던 것은? [108, 119쪽]
① 정면법 ② 검견법
③ 메야스바코 ④ 다시다카 제도
10. 교호 개혁 이후, 18세기 후반 로주가 되어 정치 실권을 장악한 사람은 누구인가? [109쪽]
① 다누마 오키쓰구 ② 아베 마사히로
③ 마쓰다이라 사다노부 ④ 쇼오헤이자카
11. 다음 중 교호개혁의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05-108쪽] (?)
① 공사방어정서의 제정 ② 메야스코의 설치
③ 나가사키 무역의 제한 ④ 새로운 농지 개발
6장 11번 참고 쪽수: 4장 p.70(아라이 하쿠세키의 업적입니다.)
12. 도시의 빈민들이 모여 집단으로 일으킨 행동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13, 141쪽]
① 하쿠쇼잇키 ② 메야스코
③ 우치코와시 ④ 직소
うちこわし: [打ち壊し]-江戸 시대, 흉년에 빈민이 부잣집·관청을 때려부수고 약탈하던 폭동.
제7장
1. 다음 내용과 관계가 깊은 사람은? [124, 125쪽]
“그의 개혁 중에서 가장 근본적이고 중요한 개혁은 농촌 부흥이었다. 농촌을 떠나 도시로 진출하여 임금 노동자로 생활하고 있었던 농민들을 고향으로 되돌려 보내어 농업 인구를 확보하려고 했다. 또 빈궁한 하타모토와 고케닌의 생활난을 구제하기 위하여 기엔레이를 내렸다. 이것은 6년 이전까지의 채무는 완전히 파기하고 그 이후의 채무는 저리의 이자만 을 붙여 상환하게 한 조치로, 주로 중하급 무사들을 상대로 미곡의 매매와 고리대금업을 하고 있었던 후다사시에게 커다란 타격을 안겨준 조치였다. 또 그는 서민들이 막부의 정 치에 관하여 비판을 가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기 때문에 언론을 통제하였다. 유학 중에 서도 주자학만을 정학으로 삼아 장려하고 다른 학파의 학문은 이학(異學)으로 규정하였 다.”
① 다누마 오키쓰구 ② 도쿠가와 요시무네 ③ 아라이 하쿠세키 ④ 마쓰다이라 사다노부
2. 다음 내용과 관계가 깊은 사람은? [134쪽]
“그는 아게치레이(上知令)를 내려서 에도와 오오사카 주변의 다이묘 령과 하타모토 령의 토지를 막부의 직할령의 편입시켜 막부의 권력을 강화하려고 했다. 그러나 이 정책은 그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영주들이 반발했을 뿐 아니라, 막부 내부에서조차도 반대하는 의견 이 많았기 때문에 실현되지 못하였다.”
① 마쓰다이라 사다노부 ② 다누마 오키쓰구 ③ 미즈노 다다쿠니 ④ 도쿠가와 요시무네
3. 다음 내용은 어느 번의 개혁을 가리키는가? [135쪽]
“즈쇼 히로사토가 중심이 되어 번의 부채를 거의 탕감하였고, 류큐와 무역하였으며 특산품 인 사탕의 전매 제도를 실시해 1840년 경에는 재정이 충실해졌다. 이어서 하급무사의 등 용, 서양식 포술의 채용, 기계 공장의 설립 등 혁신적인 정책을 행하여 군사력을 강화하 고 경제의 기반을 튼튼히 하였다. 특히 시마즈 나리아키라 시대에 이르러서는 적극적인 식산 흥업정책을 추진하고 혁신적인 하급 무사가 대두하면서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고 있 었다.”
① 조슈번 ② 사쓰마번 ③ 사가 번 ④ 에조치 번
4. 간세이 개혁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25쪽]
① 언론에 통제를 가하여 문학 작품 속에서도 정치를 비판하는 것을 엄금하였다.
② 남녀 혼욕이 금지되었다.
③ 주자학만을 정학이라고 장려하고 다른 학문은 이학으로 규정하였다.
④ 간세이 개혁은 너무나 엄격하여 모두가 정책에 협조하였다.
5. 다음은 덴포 개혁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132쪽]
① 문란해진 사회 풍조를 쇄신하기 위해 엄격한 검약령이 내려졌다.
② 출판물에 대한 통제가 이루어졌다.
③ 서민들에게만 사치스러운 의복 착용이 금지되었다.
④ 오락시설에 대한 대대적인 정비를 단행하였다.
6. 다음은 누구에 대한 설명인가? [137, 141쪽]
“18세기 전반기의 사상가로서 의학 ․ 본초학 ․ 유불에 통달하였고, <시젠신에이도>에서 농 본주의의 평등사회를 주장하였다.”
① 야마가타 반토 ② 다메나가 슌스이
③ 안도 쇼에키 ④ 하야시 시헤이
7. 다음 중 연결이 잘못된 것은? [129, 138, 140쪽]
① 모가미 도쿠나이 - 홋카이도 탐험
② 하야시 시헤이 - <가이코쿠헤이단>의 저술
③ 곤도 주조 - 허상을 습격하고 난을 일으킴
④ 마마야 린조 - 가라후토 탐험
8. 1837년 호상을 습격하고 미곡을 탈취하여 빈민에게 나누어 줄 계획을 세우고 오사카 근 교에서 난을 일으킨 사람은? [131, 139쪽]
① 모가미 도쿠나이 ② 오시오 이하치로
③ 곤도 주조 ④ 다메나가 슌스이
9.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25, 139쪽] 간세이 개혁과 이학의 금지 조치???
“마쓰다이라 사다노부가 사상을 통제하기 위해 막부의 학문소에서 주자학 이외의 강의를 금지시킨 것을 말한다. 마쓰다이라 사다노부는 에도 유시마의 하야시 집안의 학교를 정식 막부의 학교로 삼고 이를 쇼헤이자카 학문소라 명명하였다.”
① 교호 이학의 금지 ② 덴포 이학의 금지
③ 간세이 이학의 금지 ④ 유교 이학의 금지
10. 덴포 개혁을 추진한 인물은 누구인가? [132쪽]
① 마쓰다이라 사다노부 ② 오시오 헤이하치로
③ 미즈노 다다쿠니 ④ 사토 노부히로
11. 덴포 개혁에서 에도와 오사카에 나와 있던 사람들을 농촌으로 돌려보내는 시책을 무엇 이라 하는가? [61, 134쪽]
① 히토가에시레이 ② 번정개혁
③ 검약령 ④ 가부나카마의 해산
7장 11번 정답: 1번(교과서에 연표가 없어서 많이 불편하지요. 1843년에 내린 人返しの法입니다.)
12. 오시오 헤이하치로의 난이 막부에 준 충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1, 132쪽]
① 원래 막부의 관리였던 사람이 공공연하게 막부에 반항한 최초의 사건이었다.
② ‘천하의 부엌’이라 일컬어지던 막부의 직할지 오사카에서 일어났다.
③ 오사카 주변의 빈농이나 천민 등 많은 사람들이 참가하였다.
④ 막부를 무너뜨리려고 하였으며, 쇼군의 권위에 정면으로 도전하였다.
제8장
1. 다음은 누구에 관한 설명인가? [151, 159쪽]
“그는 에도 시대 후기의 극작가로, 작가로 활동하기 전에는 우키요에를 배웠다. 그는 홍등 가 사정에 밝았고 따뜻한 인간성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날카로운 통찰력과 섬세한 미의식 을 지니고 있었다. 그는 홍등가 사람들의 보편적인 삶에 눈을 돌려서 인간의 심리를 섬세 하고도 극명하게 그려내는 걸작들을 남겼다. 간세이 개혁이 시행되어 그의 작품들이 탄압 을 받게 되자, 그는 재빨리 심학의 유행에 편승해 교훈적인 내용의 작품을 출간해 호평을 받았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막부의 단속 대상이 되어 구금되기에 이른다. 이 사건으로 충격을 받은 그는 한때 작품 활동을 하지 않고 사업에 종사하기도 했다.”
① 시키테이 산바(式亭三馬) ② 요사 부손(与謝蕪村)
③ 짓펜샤잇쿠(十返舎一九) ④ 산토 교덴(山東京傳)
2. 다음은 누구에 관한 설명인가? [149, 161쪽]
“일본 전국을 측량해 일본 지도를 만든 지리학자로, 에도 시대 후기의 측량가이다. 일본 국토의 측량에 최초로 서양의 과학적인 방법을 사용했다. 실제로 해안선을 측량해 일본 전 국토에 걸친 지도를 작성한다고 하는 대사업을 이루었다. 1800년 천문관측을 위해 정 밀한 측량기를 사용, 일본 전국의 측량에 착수, 지구를 한 바퀴 도는 것보다 더 먼 거리 인 4만 3700킬로미터 (약 2만 7160마일)를 걸었다. 그의 사후, 동료와 제자들이 지도를 완성시켰다. 1821년에 “대일본연해여지전도(225매의 지도)”와 14권으로 이루어진 “대일 본연해실측도”가 출간되었다.“
① 사이고 다카모리(西郷隆盛) ② 기타가와 우타마로(喜多川歌麿)
③ 사카모토 료마(坂本竜馬) ④ 이노 타다다카(伊能忠敬)
3. 다음 중 난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47, 148쪽]
① 본격적인 난학 연구는 제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 시대에 한문으로 번역된 서양 서 적이 수입되면서부터이다.
② 난학은 실용적인 학문이기 때문에 막부의 보호를 받았으나, 한편으로는 개국을 주장하였 기 때문에 막부와 팽팽한 긴장 관계를 유지하였다.
③ 대표적인 난학자로 모토오리 노리나가(本居宣長)를 들 수 있다. (국학자)
④ 양학은 주로 나가사키의 네덜란드 상관을 창구로 연결되었기 때문에 난학이라고 한다.
4. 다음 중 잘못된 것은? [148, 151쪽]
① 본격적인 양학 연구는 18세기 전기에 서양 서적의 수입이 허용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② 양학은 난학이라고도 한다.
③ 요미혼은 권선징악을 주제로 한 소설이다.
④ 막부는 난학자들의 자유로운 사상을 인정하였다.
5. 다음 중 작자와 작품이 잘못 연결된 것은? [153, 154쪽]
① 스즈기 하루노부 - 이세오타니오니지노야쓰코 에도효에 (니시키에)
② 기카가와 우타마로 - 하의상당세미인
③ 가쓰시카 호쿠사이 - 후가쿠산주롯케이
④ 우타가와 히로시게 - 여인유녀
8장 5번 1번 ‘이세오타니오니지노야쓰코 에도효에’는 도슈사이샤라쿠의 그림입니다.
6. 양식면적으로는 수묵 담채로 주로 문인 ․ 학자가 여가로서 그렸으며, 고담 정순한 기품이 느껴지는 화풍은? [153, 162쪽]
① 북화 ② 남화 ③ 시조파 ④ 겐로쿠
7. 국학을 발달시킨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47, 157, 160쪽]
① 히라타 아쓰타네 - 국학에서 문학적 요소를 배제하였다. 이때부터 국학은 국수주의적 경 향을 띄게되었다.
② 가다노 아즈마마로 - 니혼쇼키, 고지키 등을 연구하여 국학의 학교건설을 도쿠가와 요시 무네에게 건의하였다.
③ 가모노 마부치 - 고지키와 만요슈를 연구하여 고대인의 사상으로 돌아갈 것을 주장함.
④ 모토오리 노리나가 - 국학을 정치 운동의 방향으로 발전시켰다.
8. 다음 중 그 설명이 잘못된 것은? [151쪽]
① 기뵤시는 풍자와 해학을 주요한 소재로 한 소설이다.
② 닌조본은 도시 하층민의 생활상을 기술한 단편적인 이야기이다.
③ 요미혼은 권선징악의 사상을 주입한 장편소설이다.
④ 샤레본은 해학적이면서도 기발한 대화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9. 오사카 조닌이 출자하여 설립한 사립 학교로 합리적이고 실증적인 정신을 연마하여 많은 인재들을 배출한 사숙은?
[145쪽]
① 가이토쿠도 사숙 ② 게이오 사숙
③ 오사카 사숙 ④ 가이타이 사숙
10. 다음은 분카 ․ 분세이기의 도시 생활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 연결된 것은? [155쪽]
① 하급 무사는 부업으로 겨우 생활을 유지하였다.
② 무사의 부업으로는 화초 재배, 금붕어 기르기, 우산 제작 등이 있었다.
③ 상층 조닌은 비단 옷을 입는 등 화려한 생활을 하였다.
④ 대부분의 조닌은 생활이 넉넉하였다.
11. 다음은 양학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148, 149, 150, 157쪽]
① 양학은 난학이라고도 한다.
② 양학을 연구하는 사람들 사이에서는 합리적인 사고가 발달하였다.
③ 막부는 양학자들에게는 쇄국체제의 비판을 묵인하였다.
④ 본격적인 양학 연구는 18세기 전기에 서야우서적의 수입이 허용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서양의 서적의 수입이...)
12. 다음은 우키요에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 연결된 것은? [153쪽]
① 도슈사이 샤라쿠 - 주로 연극 배우나 스모 선수를 그림의 대상으로 하였다.
② 우타가와 히로시게 - 주로 새와 곤충을 그림의 대상으로 하였다.
③ 기카가와 우타마로 - 주로 미인을 그림의 대상으로 하였다.
④ 가쓰시카 호쿠사이 - 주로 풍경화를 대상으로 하였다.
13. 양학 발전에 획기적인 의미를 갖는 업적으로 1774년에 스기다 겐파쿠, 마에노 료타쿠 등에 의해 번역된 책은? [148쪽]
① 가이타이신쇼 ② 니시키에
③ 고지키덴 ④ 가이토쿠도
제9장
1. 1853년 일본에 개국할 것을 요구해 이를 성사시킨 나라는? [166쪽]
① 영국 ② 러시아
③ 미국 ④ 프랑스
2. 다음 ( )안에 들어갈 적당한 단어는? [172쪽]
( )번은 1863년, 시모노세키 해협을 지나는 외국선박을 포격하였는데 미국이나 영국 함 대의 반격을 받았고 또 그 다음해 영국, 프랑스, 미국, 네덜란드의 4개국 연합함대의 공격 을 받아 시모노세키 포대를 점령당하였다.
① 쵸슈 ② 미토
③ 아코 ④ 사쓰마
3. 에도 막부가 존왕양이운동을 진압하기 위해 조정과 손잡으려 한 움직임을 무엇이라 하는 가? [170쪽]
① 위정척사 운동 ② 공무합체 운동
③ 왕정복고 운동 ④ 삿쵸동맹운동
4. 에도 시대 말, 사쓰마 번과 쵸슈 번의 동맹을 중개해 에도 막부의 몰락을 가능케 한 도 사번 출신의 무사는 누구인가? [174쪽]
① 이이 나오스케 ② 가쓰 가이슈
③ 사카모토 료마 ④ 사이고 다카모리
5. 다음 중에서 개항의 경제적 영향이 아닌 것은? [169, 175쪽]
① 일본의 생사가 대량으로 수출되어 양잠업과 제사업이 호황을 누렸다.
② 수출이 증가하면서 일본 국내는 물자가 더욱 풍부하게 되었다.
③ 요코하마에서는 지방 상인들이 활동해 동업 조합을 중심으로 하는 유통질서가 무너지기 시작했다.
④ 외국과의 교역으로 일본의 금이 유출되기 시작했다.
6. 다음은 개국에 즈음한 일본의 국내외 정세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쪽]
① 고래 기름이 등유와 초의 원료로 사용되었기 때문에 미국에서 포경업이 크게 번성하였 다. 따라서, 미국은 이들 포경선의 기항지를 일본에서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② 당시 천황을 비롯한 대부분의 일본인들은 개항에 저항감을 가지고 있었다.
③ 개항 이후, 경제적으로 수출이 늘어가자, 막부의 권위는 강화되었고 정국도 안정되어갔 다.
④ 미국은 중국 항로의 기항지로서 일본을 개국시킬 필요가 있었다.
9장 6번 참고: 168-170, 185, 188쪽
7. 다음은 페리의 내항과 관련된 내용이다. 틀린 것을 고르시오. [166쪽]
① 막부는 페리의 무력에 굴복하여 1853년에 미국과 화친 조약을 체결하였다.
② 페리는 미국 대통령의 국서를 제시하고 개국을 요구하였다.
③ 페리가 이끌고 온 선박을 일본인들은 흑선이라고 불렀다.
④ 페리는 1853년 4척의 군함을 이끌고 에도만 입구의 우라가에 내항하였다.
8. 막부가 미국과 체결한 화친 조약의 내용과 다른 것은? [166쪽]
① 막부는 미국선에 대해 식품 ․ 연료 ․ 식수 등을 공급한다.
② 막부는 시모다와 하코다테를 개항한다.
③ 미국 영사가 일본에 주재하며, 미국에 일방적으로 최혜국 대우를 한다.
④ 미국인들은 자유롭게 일본을 여행할 수 있다.
9. 조슈번의 비정규군으로 조직된 군대로서, 농민과 조닌도 포함된 신식 군대의 이름은? [174, 179쪽]
① 가쓰라 군대 ② 기헤이타이
③ 긴몬 군대 ④ 토막파 군대
10. 다음은 누구에 대한 설명인가? [178쪽]
“사쓰마 출신의 정치가로써 존왕양이 운동에서 활약하고 삿초 동맹을 맺었다. 무진전쟁의 참모로서, 1871년 참의가 되었다. 폐번치현에 전력을 다하다가 정한론에 의해 하야했다. 1877년 서남전쟁이 일어났을 때 반란군의 중심 인물이 되었으나 전사하였다.”
① 안도 노부마사 ② 사카모토 료마
③ 오쿠보 도시미치 ④ 사이고 다카모리
11. 일본이 미국과 체결한 화친조약의 내용이 아닌 것은? [166쪽]
① 미국인은 일본 전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다.
② 일본은 미국선에 대해서 식풉, 연료, 식수를 제공한다.
③ 시모다와 하코다테를 개항한다.
④ 미국에게 일방적으로 최혜국 대우를 한다.
12. 막말의 정치 상황으로 사실이 아닌 것은? [164, 168, 169, 171쪽]
① 대외 위기의식이 깊어지고 더 이상 막부에 기대할 수 없다는 분위기가 확산되었다.
② 요시다 쇼인은 급진적인 존왕양이론을 주장하여 젊은 지사들의 인망을 모으고 있었다.
③ 1860년에서 1862년 사이에 일본에 거주하는 외국인 습격사건이 계속하여 일어났다.
④ 일반인들은 서양에 대하여 반감을 가지고 있었으나, 천황과 귀족들은 호감을 가지고 있 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