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근세근현대사

[스크랩] 대체시험 자료//학교 자료실

nextday27 2009. 3. 4. 11:43
<제1강> 통일정권의 성립 
다음 중 오다 노부나가와 관련이 없는 것은? 
① 나가시노 전투에서 조총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다케다의 기마군단을 대파하였다. 
② 아즈치 성을 쌓고 근거지로 삼았다.  
③ 라쿠이치 라쿠자 정책을 시행하였다. 
④ 에도 막부를 열었다. 
다음 중 나가시노 전투와 관련이 없는 것은? 
① 오다 노부나가가 당시 전국 최강을 자랑하던 다케다의 기마군단을 대파한 전투이다. 
② 오다 노부나가는 이 전투에서 조총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였다. 
③ 오다 노부나가가 스루가 지방의 센코쿠 다이묘인 이마가와 요시모토를 수적인 열세를 극복하고 적의 의표를 찌르는 기습공격을 통하여 격파하였다. 
④ 나가시노 전투는 이후 전술 및 축성술의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혼노지의 변’은 다음 중 누구와 관련이 있는가? 
① 토요토미 히데요시 ② 도쿠가와 이에야스 ③ 오다 노부나가 ④ 토요토미 히데요리 
다음 설명은 누구와 관련이 있는가? 
「자신에 대하여 적대하는 종교 세력인 불교를 배척하고 불교에 대한 대항 세력으로 카톨릭을 보호하였다. 군사비 부담을 거부하던 사카이의 상인들로부터 도시의 자치를 빼앗았다.」 
① 오다 노부나가 ② 토요토미 히데요시 ③ 토요토미 히데요리 ④ 도쿠가와 이에야스 
다음은 누구에 관한 설명인가? 
「아케치 미쓰히데를 토벌하였다. 쇼군이 되지 않고 조정의 권위를 이용해 통치하였다. 1590년에 오다와라의 호조씨를 멸망시키고 전국을 통일하였다.」 
① 오다 노부나가 ② 토요토미 히데요시 ③ 토요토미 히데요리 ④ 도쿠가와 이에야스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전국의 논밭의 경지마다 면적을 조사한다. 토지의 질을 조사하여 상,중,하,하하의 4등급으로 나눈다. 수확고를 정한다. 경작자를 정해 검지 장부에 등록하고 경작자에게 연공(세금)을 바치게 한다.」 
① 라쿠이치 라쿠자 ② 다이코 검지 ③ 가타나가리 ④ 후미에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농민이나 절로부터 칼, 조총, 활, 창 등의 무기를 몰수하였다.」 
① 다이코 검지 ② 라쿠이치 라쿠자 ③ 가타나가리 ④ 후미에 
다음은 누구에 관한 사항인가? 
「가카나가리, 다이코 검지, 임진왜란」 
① 오다 노부나가 ② 토요토미 히데요시 ③ 토요토미 히데요리 ④ 도쿠가와 이에야스 
다음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 오다 노부나가가 활동하던 시대를 아즈치 시대라고 한다. 
② 토요토미 히데요시가 활동하던 시대를 모모야마 시대라고 한다. 
③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에도 시대를 열었다. 
④ 일본의 근세는 에도 시대부터이다. 
다음은 모모야마(桃山) 문화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웅장하고 화려하다. 
② 천수각이 모모야마 문화의 대표적인 산물이다. 
③ 모모야마 문화는 근세 말기의 문화이다. 
④ 금벽장병화가 모모야마 문화의 대표적인 산물이다.  
다음 중 모모야마 문화를 만들어 내는데 일조한 인물이 아닌 것은? 
① 셋슈(雪舟) ② 가노 에이토쿠(狩野永德) ③ 센노리큐(千利休) ④ 가노 산라쿠(狩野山樂) 
다음 중 모모야마 문화의 성과가 아닌 것은? 
① 와비차의 완성 ② 가부키 오도리 ③ 히메지 성 ④ 가레산스이식 정원 
다음 중 오다 노부나가와 싸웠던 세력이 아닌 것은? 
① 엔랴쿠지(延曆寺) ② 혼간지(本願寺)의 잇코잇키(一向一揆) 
③ 센코쿠 다이묘(戰國大名) 다케다씨(武田氏) ④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 
다음은 누구의 무슨 정책에 관한 설명인가? 
「사사(寺社)나 공가(公家)의 보호하에 시장이나 좌(座)가 지니고 있던 영업에 있어서의 여러 가지 특권을 폐지하고 상공업자들의 자유로운 판매와 영업을 허가한 것이다.」 
① 오다 노부나가의 라쿠이치 라쿠자 ②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가타나가리 
③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타나가리 ④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라쿠이치 라쿠자 
다음은 임진왜란이 끼친 영향이다. 틀린 것은? 
① 조선 침략으로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권력은 더욱 굳혀졌다. 
② 조선에서는 국토가 황폐해져 민중들은 큰 피해를 입었다. 
③ 중국에서는 전쟁비용으로 인해 명나라의 국력은 약해지고 이윽고 청나라에 의해 멸망당 한다.  
④ 일본은 조선의 도공들을 납치해와 자국의 도자기 산업을 크게 발전시키는 계기를 만들었다.  
<제2강> 에도 막부와 지배 질서의 형성 
에도 시대의 지배체제를 막번체제라고 부른다. 270개의 소국가를 통할하고 있던 막번체제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막부는 여러 번들의 정치에 관해서는 거의 간섭하지 않았다. 유일하게 감시하고 있었던 것은 군사력이었다. 
(a) 중앙과 지방과의 주종관계 
‘막(幕)’이라고 하는 것은 쇼군을 정점으로 하는 중앙정권인 ‘에도막부’를 가리킨다. ‘번(藩)’이라고 하는 것은 다이묘를 정점으로 하는 지방정권을 지칭한다. 단, 당시에 ‘~번’이라고 하는 호칭이 있었던 것은 아니다. 지방의 다이묘가 통치하는 영지를 뒷날 역사가들이 그렇게 부르고 있을 뿐이다.  
이 쇼군과 여러 다이묘가 주종관계로 결합되어, 강한 영주권을 지니고 토지와 백성을 지배하는 시스템을 막번체제라고 한다.  
막번체제의 정의에 대하여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하자. 원래 막부의 정치권력이라고 하는 것은, 도쿠가와 집안이 스스로의 무력으로 확립한 것이지만, 형식적으로는 천황이 도쿠가와 집안의 당주를 정이대장군에 임명하여 막부를 열게 하고 정치를 맡아보게 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즉, 조정이 정권을 막부에 위임하고 있다고 하는 방식을 취한 것이다. 이러한 방법은 가마쿠라 막부 이래의, 전통적인 무가정권의 존재형태였다고 말 할 수 있을 것이다.  
(b) 통제하지만 간섭하지 않는다. 
확실히 막부는 여러 다이묘가 반항하거나 강대해지지 않도록 엄격하게 통제하고 번주가 바뀔 때에는 다시 영국을 새로운 번주에게 안도(소유권을 인정해주는 것)하였다. 게다가, 다이묘의 영지를 자유롭게 바꾸거나, 증감시켰다. 그렇지만, 영지지배권에 대하여는 간섭이나 침해하지 않았던 것이다.  
한편, 여러 다이묘들도 영토를 보증받기 위하여 막부에 대하여 군사적인 의무와 산킨고타이, 하천의 수축과 성의 수축이라고 하는 부담을 지었지만, 영국의 정치를 막부에 맡기고자하는 번은 하나도 없었다.  
에도시대에는 약 260에서 270개의 번이 존재하였는데, 일본 열도에는 그런 숫자에 해당하는 소국가가 존재하였다고 생각해도 좋을 것이다. 이러한 상태는 기본적으로는 막부의 말기까지 변함이 없었던 것이다.  
* 막부는 어떻게 도자마 다이묘들을 지배할 수 있었을까? 
(a) 에도 막부는 도쿠가와 집안이 세운 군사정권이다. 도쿠가와 집안은 전국 시대라고 하는 난세를 헤치고 나와 거대해졌고, 다른 다이묘와는 비교도 안될 정도로, 강대한 병력을 지니고 세키가하라 전투에 임하였으며, 이 전투에 승리함으로써 1603년에 에도에 막부를 세웠던 것이다.  
막부는 군사정권이었으므로, 무력으로 다이묘를 제압한다고 하는 지배체제를 취하였다. 그 군사력은 도자마 다이묘의 여러 번(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도쿠가와 집안에 복종한 다이묘)에 대하여 압도적인 우세를 자랑, 이 힘으로 도쿠가와 집안은 260년이나 되는 장기정권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막부가 지니고 있었던 군사력은 크게 다음의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신판(親藩: 도쿠가와 집안의 일족 다이묘), 후다이(譜代: 도쿠가와 집안의 가신 다이묘)가 보유하는 군대, 그리고 쇼군에 직속하는 하타모토와 고케닌으로 구성되는 병력이다. 
(b) 강력했던 신판 다이묘, 후다이 다이묘, 그리고 직속 군사력 
에도 막부의 직제는 문관 관료와 무관으로 나뉘어져 있었다. 군사정권답게, 문관보다 무관이 우위였으나, 평화가 지속되면서 점차 문관이 중시되게끔 되었다. 직속 군사력은 하타모토(旗本)와 고케닌(御家人)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양자의 차이는 쇼군을 알현할 수 있는지 여부에 달렸다. 즉, 하타모토는 쇼군을 알현할 수 있었으나, 고케닌은 그렇지 못했던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타모토가 고케닌 보다 가록(연봉)을 많이 받았다. 
그런데, 신판, 후다이 다이묘의 군대와 쇼군의 직속 군대를 합하면, 그 군사력은 막강해져 도자마 다이묘 전체가 연합하여 도전하더라도 결코 승산이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막부 말기의 도바․후시미 전투(1868년)에서 막부의 군대가 무참하게 패배한 것은 당시 쇼군의 소심함과 오랫동안 평화가 지속되어 태평시대에 젖어있던 막부 신하들의 무기력함이 원인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아무리 숫자가 많다고 하더라도 실제 전투에 도움이 되지 않는 군사력으로는 방법이 없었던 것이다. 
*막부는 도자마 다이묘가 에도로 쳐들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도자마 다이묘들을 일본의 변방에다가 배치하였으며, 그 주변에는 신판․후다이 다이묘들을 배치하여 감시하게 하였다.  
* 막부는 어디에서 재원을 얻고 있었는가? - 연공으로 받은 쌀 수입이 기본이었지만, 화폐의 질을 떨어트림으로써 그 차익을 얻는다고 하는, 손쉬운 방법까지 취하고 있었다. 
(a) 연공과 광산으로부터의 금과 은, 무역수입 
언제 어느 지역에서도 같지만, 정권을 유지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재원이 필요하다. 재원 없이는 국가는 국가로서 기능하지 못한다. 에도 막부의 경우, 그 재원의 태반을 덴료(막부의 직할령)에서 나오는 농민의 연공으로 충당하였다. 막부는 전국 13%에 해당하는 400만석의 광대한 토지를 직할하고 있었다.  
그러나, 연공만으로는 재정을 다 충당할 수 없어서 다른 방법으로도 재정을 확보해야 하였다. 막부 초기에 주요한 재원이 괴었던 것은, 광산에서 채굴되는 금․은․동과 나가사키 무역에서 생기는 수익이었다. 막부는 주요한 광산을 직영하였으며, 무역도 독점하고 있었기에, 그 이익은 모두 국고에 들어왔던 것이다. 그러나, 이윽고 금과 은의 채굴양이 격감, 무역액을 제한하게 되자, 급격히 막부의 재정을 핍박하게 되었다.  
(b) 화폐를 개악하여 그 차익을 얻고자 하였다. 
그래서, 겐로쿠 시대인 1695년, 쇼군 쓰나요시는 화폐에 포함되어 있는 금과 은의 함유량을 줄여서 그 차익을 재원으로 삼고자 하였다. 이후, 막부는 여러 차례에 걸쳐서 화폐의 개악을 행하여, 차익은 중요한 재원이 되어간다. 예를 들면, 1840년대의 막부의 세입을 살펴보면, 그 20%이상을 점하고 있는 것이다. 또, 천명 연간(1781-88), 다누마 오키쓰구는 그 당시까지의 연공을 중시하던 재원확보정책을 개정하여 상공업자의 가부나카마(동업자 조합)을 인정해주는 대신에 영업면허세로서 운상․명가금을 징수하였다.  
그 외의 재원으로서는 여러 다이묘에 의한 헌금, 막부가 소유하는 성과 하천을 수리하는 공사부담과 주요한 도시로부터의 어용금 등이 있었다.  
(c) 막부의 재정 지출 항목으로는 하타모토의 급료와 관청의 경비가 거의 대부분이었다. 
세출을 살펴보면, 막부 세출의 대부분을 점하는 것은 기리마이(절미)와 관청의 경비였다. 기리마이란 하타모토와 고케닌에게 지불하는 쌀, 즉 급료를 의미한다. 또 급속한 신장세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쇼군의 부인과 그에 딸린 여성들의 경비를 들 수 있다. 그 외에 매년 있는 것은 아니었으나, 쇼군이 이에야스의 묘소(닛코 도쇼구)에 참배하는데 드는 경비도 세출의 10%를 차지해 거액의 지출이 되었다.  
*막부는 겐로쿠 시대 이후, 화폐를 개주함으로써 그 차익을 중요한 재원으로 삼았는데, 겐로쿠 당시의 화폐를 에도 시대 초기의 화폐와 비교한다면, 금과 은의 함유량은 13%나 감소하였다. 
다음은 누구에 관한 설명인가? 
「미카와(아이치 현)의 소 영주 출신이었던 그는 어린 시절을 이마가와 요시모토의 인질로 보내게 되나, 오케하자마 전투를 계기로 고향으로 돌아와 오다 노부나가와 동맹관계를 맺고 동쪽으로 세력을 확장해간다. 그는 1590년 고향에서 에도(현재의 동경)로 그 본거지를 옮겼다.」 
① 이시다 미쓰나리 ② 고니시 유키나가 ③ 가토 기요마사 ④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일본의 패권을 확립하게 되는 전투는? 
① 오케하자마 전투 ② 나가시노 전투 ③ 세키가하라 전투 ④ 오오사카 나쓰노진 
에도 시대는 대략 어는 정도 지속되었는가? 
① 150년 ② 200년 ③ 300년 ④ 260년 
다음 사건을 올바른 순서로 나열한 것은? 
㉠ 호코지 종명 사건 ㉡ 세키가하라 전투 ㉢ 오오사카 나쓰노진 ㉣ 오오사카 후유노진 
① ㉠-㉡-㉢-㉣ ② ㉣-㉢-㉡-㉠ ③ ㉢-㉡-㉠-㉣ ④ ㉡-㉠-㉣-㉢ 
다음 B항의 내용을 올바르게 연결하시오.  
A항: ①오메쓰케 ② 마치부교 ③ 간조부교 ④ 지샤부교 ⑤ 와카도시요리 ⑥ 교토쇼시다이  
⑦ 오사카 조다이 ⑧ 메쓰케 ⑨ 덴료 ⑩ 하타모토 ⑪ 고케닌 ⑫ 신판다이묘 ⑬ 후다이 다이묘  
⑭ 도자마다이묘 ⑮ 로주 
B항: ⓐ 에도의 시정을 담당하는 기관. ⓑ 오오사카의 경비와 서쪽 지방의 다이묘를 단속.  
ⓒ 사찰과 신사를 단속하는 기관. ⓓ 에도 막부의 수상과 같은 역할 ⓔ 로주를 보좌하는 역할 ⓕ 덴료의 재정을 담당하는 기관. ⓖ 다이묘를 감시하고 감찰하는 역할  
ⓗ 하타모토와 고케닌을 감시하고 감찰하는 역할. ⓘ 쇼군의 직속 무사로 쇼군을 알현할 수 있는 권한을 지님. ⓙ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에 도쿠가와 씨의 부하가 된 다이묘. ⓚ 세 키가하라 전투 이전부터 도쿠가와씨의 부하가 되었던 다이묘. ⓛ 교토의 경비와 조정과 서족 지방 다이묘를 단속하는 역할. ⓜ 막부의 직할령 ⓝ 쇼군의 직속 무사로 쇼군을 알현할 수 있는 권한이 없음. ⓞ 도쿠가와 씨 일족으로 1만석 이상의 영지를 지상급 무사 
 
에도 시대의 지배체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① 관료체제 ② 사회주의 체제 ③ 자본주의 체제 ④ 막번체제 
다음 중 틀린 것을 고르시오? 
① 에도 시대의 대외정책을 쇄국정책이라고 한다.  
② 에도 시대는 외국과 완전히 교류를 단절한 채 살았다.  
③ 쇄국은 가톨릭의 선교를 철저하게 금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④ 쇄국은 막부가 무역의 독점권을 장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다음 중 에도 시대 당시 일본이 교류한 나라가 아닌 것은? 
① 포르투갈 ② 네덜란드 ③ 조선 ④ 청국 
다음 중 무사의 특권이 아닌 것은? 
① 후미에의 특권 ② 기리스테고멘의 특권 ③ 묘지의 특권 ④ 대도의 특권 
․에도 시대의 천민을 무엇이라고 하였는가?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처자식을 인질로 삼아 에도에서 거주하게 함으로써 다이묘들의 반란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였다. 다이묘를 에도에 교대로 거주하게 함으로써 인물이나 행동의 감시를 가능케 하였다. 에도와 영지를 왕복시킴으로써 다이묘의 번에 대한 지배를 약화시켰다. 왕복 비용과 에도에서의 생활비로 인하여 다이묘의 재정을 약화시켜 세력의 약화를 꾀하였다.」 
<제3강> 산업경제의 발달과 도시의 번영 
다음 중 에도 시대의 농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막부와 번은 재정의 충실을 위하여 농민은 자기 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농업에 주력하였다.  
② 에도 시대는 농업이 크게 발달한 시대였다.  
③ 막부와 번은 새로운 농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④ 새로운 농지를 개발하기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농지는 크게 늘어나지 않았다. 
다음 중 에도 시대의 산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 해운(海運)은 그다지 발달하지 못해 수송은 거의 대부분 육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② 사회가 안정되자, 수공업의 원료가 되는 차, 담배, 면화 등이 많이 재배되었다.  
③ 다이묘의 참근교대로 인하여 교통량이 증가, 각지에 도로의 설비가 이루어졌다.  
쇄국 정책의 결과, 국내에서는 평화가 지속되어 수산업, 광업, 수공업 등의 여러 산업이 발달하였다.  
다음 중 틀린 것은? 
① 에도 시대의 삼도(三都)란 에도, 오오사카, 교토를 가르킨다. 
② 오오사카는 문화의 중심지였다. 
③ 오오사카는 천하의 부엌이라고 칭하여졌다. 
④ 에도는 정치의 중심이었다. 
다음은 어느 도시에 관한 설명인가? 
「18세기에는 인구 약 100만명에 도달하였는데, 그 중에 조닌이 약 반 정도였다. 당시 세계 최대의 도시로 대 소비지였다.」 
① 교토 ② 오오사카 ③ 오다와라 ④ 에도 
다음 중 에도 시대에 출현한 부유한 상인(호상)이 아닌 것은? 
① 미쓰이 ② 고노이케 ③ 스미토모 ④ 미쓰보시 
<제4강> 막정의 전환과 문치주의 시대의 정치 
에도 시대에 로닌들을 결집하여 막부를 전복시킬 계획을 세웠던 사람은 누구인가? 
① 도쿠가와 쓰나요시 ② 도쿠가와 요시무네 ③ 도쿠가와 이에미쓰 ④ 유이 쇼세쓰 
다음 ( )안에 들어갈 적당한 단어는? 
「제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스까지는, 무력에 입각한 강한 정치를 시행하였는데, 이를 ( )정치라고 한다. 그러나, 막부도 점차로 안정되어 갔기에 이후는 학문과 사상의 힘으로 사회를 다스리고자 하였다. 이것을 ( )정치라고 한다. 5대 쇼군 도쿠가와 쓰나요시와 아라이 하쿠세키가 활동하던 시기가 가장 그 전성기가 되었다. (17세기 말에서 187세기 초) 
 
다음 사항과 관련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겐로쿠 시대, 쇼루이아와레미령, 문치주의 정책, 에도의 유시마 건축, 주자학의 장려, 아코번 무사들의 집단 복수극」 
① 도쿠가와 이에야스 ② 도쿠가와 쓰나요시 ③ 도쿠가와 미쓰나리 ④ 도쿠가와 요시무네 
다음과 같은 정책을 추진한 사람은 누구인가? 
「쇼루이아와레미령을 폐지하였으며, 유학의 정신에 입각하여 의식을 정비함으로써 쇼군의 권위를 높혔다. 화폐의 질을 개량하여 물가의 안정을 꾀하였지만, 경제적인 혼란은 수습되지 않았다. 나가사키에서의 무역양을 제한함으로써 금과 은의 해외유출을 막고자 하였지만 그 효과는 별로 없었다.」 
① 유이 쇼세쓰 ② 도쿠가와 쓰나요시 ③ 아라이 하쿠세키 ④ 도쿠가와 요시무네 
․에도 막부는 무단정치에 의해 전국 지배를 강화하였는데, 그 뒤 어떤 정치를 행하였는가? 
다음 ( )안에 들어갈 적당한 단어는? 
「화폐경제가 진전되자, 무사들도 화폐로 상품을 구입하는 생활이 되어갔다. 도시 생활이 풍요로와져 필수품도 점차 증가하게 되었다. 그러나, 재정의 기초인 ( )의 생산이 급격히 늘어난 것도 아니었으며, 또 ( )의 가격보다도 소비물자의 물가가 상승하여 수입에 대한 지출의 증대라고 하는 불균형이 생겨났다. 그 때문에 막부와 번은 재정이 궁핍해져 곤란해지게 되었다.」  
<제5강> 겐로쿠 시대의 사회와 문화 
다음은 무슨 학문에 관한 설명인가? 
「막부가 공인한 학문이 되었다. 특히 임금과 신하, 아비와 자식 간의 명분을 중시하는 학문으로, 봉건지배에 이용할 수 있었기에 막번 권력의 보호를 받으면서 발전, 봉건 사회의 지배 이데올로기로 자리잡게 되었다.」 
① 양명학 ② 주자학 ③ 고학 ④ 국학 
다음 중 겐로쿠 시대의 사회상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상품경제가 발전하고 물가가 상승하면서 무사는 더욱 부유해졌다. 
② 경제적으로 조닌이 무사에 비해 더 부유한 생활을 하고 있었다. 
③ 시간이 지날수록 무사를 정점으로 하는 신분제는 동요되어 갔다. 
④ 1일 2식에서 1일 3식으로 일반화되었다.  
다음은 에도 시대의 교육에 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① 막부는 에도의 유시마에 학문소를 설치하였다. 
② 여러 번들도 각각 번교를 세워, 무사들의 교육에 주력하였다. 
③ 민간에는 데라코야라고 하는 초등교육기관이 생겨났다. 
④ 데라코야에서는 실용적인 교육이 아니라 주로 옛 중국의 경전을 공부하였다.  
다음은 겐로쿠 시대에 출판된 서적이다. 저자와 서명, 그리고 내용이 틀리게 연결된 것은? 
① 하야시 라잔(林羅山)-혼초쓰간(本朝通鑑): 주자학의 입장에서 서술한 역사서  
② 미토번(水戶藩)-다이니혼시(大日本史): 주자학의 입장에서 서술한 역사서 
③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세이요키분((西洋紀聞): 서양의 지리와 역사에 관한 내용 
④세키다카가즈(關孝和)-호색오인녀(好色五人女): 인간의 물욕과 애욕 본능을 솔직하게 묘사한 내용. 
다음은 겐로쿠 문화에 관한 내용을 나열한 것이다. 틀린 것은? 
① 교토와 오오사카 등 소위 가미가타를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② 부유한 조닌들 사이에 일어난 문화이다. 
③ 문화는 초현실주의적인 경향이 강하였다.  
④ 학문에는 합리주의 정신이 강하게 표출되었다.  
다음은 누가 쓴 작품인가? 
「호색일대남, 호색오인녀, 일본영대장」 
① 마쓰오 바쇼 ② 이하라 사이가쿠 ③ 아라이 하쿠세키 ④ 지카마쓰 몬자에몬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조닌들이 즐기는 연극으로 발달. 사카타 도주로, 이치카와 단주로 등이 유명하다. 겐로쿠 추신구라는 오늘날까지 인기리에 상연되고 있다.」 
① 가부키 ② 닌교조루리 ③ 노 ④ 교겐 
출처 : 방송대 일본학과 길나장이
글쓴이 : 나바다 원글보기
메모 :